본문 바로가기

3rd/블록체인기술과 활용서비스11

[2023/04/10][7주차] 블록체인 바로 알기 잘못된 오해 진실 블록체인에 한번 기록된 것은 절대 변경되지 않음 블록체인의 기록은 끊임없이 변경되고, 영원히 확정되지 않는다 블록체인은 보안이 뛰어나다. 블록체인의 정보는 전혀 보호되지 않는다. 정보보안과 운영성 보안을 구분해야 한다 블록체인의 내용을 변경하려면 과반수 노드를 해킹해야 한다 과반수가 아니라 99%를 해킹해도 변경 불가하고, 해킹을 안 해도 바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오로지 해시파워만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위변조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위변조 방지는 전자서명과 관련되고 블록체인과 위변조 방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블록체인은 코인과 불가분이다 블록체인 종류가 하나가 아님 코인용 블록체인이 따로 있음 나머지 모든 블록체인은 코인과 아무런 상관없다 -> 더 큰 문제는 블록.. 2023. 4. 10.
[2023/04/03][6주차] 소프트 포크 vs 하드포크 Miner Activated 채굴업자가 블록을 생성해 내기 때문에 채굴업자에 의해 발생한 포크가 성공 가능성이 높음 User Activated 발생원인 중앙서버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가 가능하지만 중앙서버가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버전이 달라짐 클라이언트마다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소프트포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하드포크도 발생될 수 있음 결론 채굴업자가 단합하여 포크하면 얼마든지 하드포크하고 교란시킬수 있지만 코인 보유는 채굴업자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그러지 않음 작업증명(proof of work)과 해시퍼즐 특정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리소스 소모하는 절차를 거쳐야함 작업증명의 비대칭성 작업을 하기 위한 리소.. 2023. 4. 3.
[2023/03/27][5주차] 비트코인 완전노드 vs SPV노트 노드의 종류 SPV노드(Simple payment verification node) User, 일반 사용자 그룹 완전노드 Validation, 검증 그룹 시스템 무결성에 기여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가 필요 Miner, 채굴 그룹 검증과 채굴 시스템에 참여 암호화폐 지갑 중개소가 지갑을 제공해서 코인을 사고팔 수 있게 하는것 송신 트랜잭션의 작성 및 제출(브로드캐스팅) 암호화 키 생성 및 보관 블록체인 내 UTXO 검색 및 관리 UTXO: 장부에 적혀 있지만 아직 사용하지 않은 BTC를 뜻함 주소별 UTXO 잔액 합산 UTXO마다 BTC를 갖고 있을텐데 내가 사용하려는 BTC만큼 사용하고 UTXO마다 사용한 BTC를 기록 지갑에는 코인이 없고, 코인을 제어할 수 있는.. 2023. 3. 27.
[2023/03/20][4주차] 암호화 표기 도입 대칭형 암호화 기법 암/복호화 키가 동일 비대칭형 암호화 기법 대칭형과 다르게 키가 두 개이고 암/복호화 키가 다름 하나는 비밀키이고 다른 하나는 공개키 전자서명 위조 불가와 인증의 두 가지 성질을 갖음 비대칭형 암호화 기법을 활용 비밀키로 암호화한 것은 공개키로 복호화 가능 복호화 되는 사실 자체로 인증의 기능을 함 공개키로 암호화한 것은 비밀키로 복호화 가능 복호화는 비밀키로만 가능하기 때문의 인증의 기능을 함 164/5p 예제 송신자 메시지 자체는 암호화 하지 않고, 메시지의 해시값을 비밀키로 암호화(전자서명) 하고 메시지와 함께 송신 수신자 송신자의 암호값을 공개키로 복호화 공개키는 막줘도 상관없기 때문에 메시지와 같이 송신 가능(사전에 발급만 받음 됨) 복호화 되는 것만으로 송.. 2023.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