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수업까지 중간고사 범위
> 이번 강의의 질문에 대한 답 + 중간고사 예시문제
> 시험은 7:40분부터 80분 시험 (37문제)
자본예산(capitall budgeting)
- 기업이 어디에 얼만큼 투자를 할 것인지 계획하고 분석하는 것 (투자안 평가)
투자안 현금흐름의 측정(3-4p)
- 회계이익이 아닌 실제 발생한 현금흐름으로 측정
- 회계는 기본적으로 발생주의적 원칙을 가짐
- 회계적 이익과 실제 발생 이익의 가장 큰 차이를 만드는 것은 감가상각비임
- OCF로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재무에서 편의상 EBITDA를 영업현금흐름에 대응치로 사용하기도 함
- 가속감가상각법
- 대부분의 기업이 세금효과 때문에 가속감가상각법을 하는데
- 정액이 아닌 초기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감가상각법을 한다는 것은
- 비용이 많은 만큼 초기에 세금을 덜 내게 되는 효과를 봄
- 대부분의 기업이 세금효과 때문에 가속감가상각법을 하는데
- 투자에 따른 현금흐름 변화분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른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전반적인 변화분을 측정
- 매몰비용과 기회비용
- 매몰비용
- 시장조사를 한다는 것은 이미 비용 지출이 됐다는 것이기 때문에
- 시장조사에 따른 투자를 하든 안하든 비용은 발생하게 됨
- 기회비용
- 매몰비용
- 운전자본은 우리 수업에서 다루지 않음
- 회계는 기본적으로 발생주의적 원칙을 가짐
회수기간법
- 투자안 평가방법
-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측정하는 방법
- 회수기간이 짧을수록 좋은 투자안
- 계산이 간편하지만 현금흐름의 시간가치와 회수기간 이후의 현금흐름을 무시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진 않음
- Time value of money
- 미래의 현금 흐름을 동일하게 볼 수 없음
- PV: 미래의 시점을 현재 특정 시점으로 계산한 값
- 1년뒤에 100만원 보다 오늘 100만원의 가치가 더 높다는 것을 얘기함
- 미래의 현금 흐름을 동일하게 볼 수 없음
투자안 경제성 평가 - 세 가지 평가에 대한 정의
- NPV(Net present value)
- 자본비용(WACC): 타임자본비용과 자기자본비용(주주들이 회사에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익률)
- 예제에서 자본비용에 따라 계산된 2억 5,810만원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데
- 채권자들에게 이자를 다 갚았고 주주들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익률도 충족 하고도(자기자본비용) 남은 초과 이익을 얘기함
- 주주들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은 자기자본비용을 충족하고 나서도 초과 이익을 기대할 수 있음
- NPV=0 이라는 것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조달한 부채에 대한 이자를 다 갚고 자기자본비용 또한 충족함을 뜻함
- NPV < 0 이라는 것은 부채에 대한 이자를 갚고 남은 이익이 (최소한의)주주들의 요구하는 수익률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얘기함
- NPV가 음수라고 해서 무조건 손해인 것은 아님을 뜻함
- NPV계산할 때 12%라는 자본비용을 할인율로 사용했는데
- 자본비용 안에는 50억이라는 돈을 조달하기 위해서
- 채권자들에게 이자를 다 갚았고 주주들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익률도 충족 하고도(자기자본비용) 남은 초과 이익을 얘기함
- 예제에서 자본비용에 따라 계산된 2억 5,810만원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데
- 자본비용(WACC): 타임자본비용과 자기자본비용(주주들이 회사에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익률)
- PI(수익성 지수법)
- NPV와 유사한데 현금유입의 현재가치로 나누어 계산
- NPV > 0이면 PI > 1 임
- NPV에 보조 수단으로 볼 수 있음
- 투자대안이 여러가지가 있을 때 최적의 투자안을 찾는데 활용
- ex) 50억 투자해서 NPV=2, 500억 투자해서 NPV=15일때 PI 지표를 활용
- IRR(내부수익률)
- 투자안의 미래 현금유입(10, 20, 30, 10)의 현재가치를 현금유출(50)의 현재가치와 같게 만드는 할인율
- 현금유출읠 우변으로 이동 시키면 0과 같아지기 때문에 NPV를 0으로 만든 값이라고도 함
- 14.3%라는 IRR은 지금 50억 투자해서 예정대로 현금유입이 발생한다면 이 프로젝트로 부터 얻게 되는 연평균 수익률이 14.3%라는 것을 뜻함
- 이는 WACC 12%를 제외하고 2.3% 초과수익이 발생함을 뜻함
- 실제로는 기업마다 내부목표수익률 이라는 기준이 있고 이를 갖고 투자안을 선택하게 됨
- NPV와 IRR 비교
- 원래 NPV와 IRR은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 것이 맞으나
- 상호베타적인 투자안(A, B)에서 NPV와 IRR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음
- 미래 현금흐름이 어떤 수익률로 재투자되는지에 대한 가정 때문임(10, 20, 30, 10)
- NPV는 자본비용으로 재투자 한다는 것이고
- IRR은 IRR로 재투자 된다고 가정됨
- 보통 NPV가 IRR보다 더 좋은 방법으로 여겨짐
- 미래 현금흐름이 어떤 수익률로 재투자되는지에 대한 가정 때문임(10, 20, 30, 10)
- NPV법과 IRR법이 상충되는 경웅 보수적 관점에서 미래 현금흐름이 자본비용으로 재투자된다고 보는 NPV법이 합리적
- NPV는 WACC(자기자본비용)으로 재투자 하고, IRR은 전체 투자 수익률을 갖고 재투자 하기 때문에
- 보수적 관점에서 적은 수익률로 재투자 하는 NPV가 더 좋게 보임
중간고사 모의시험 답안
1. 수업시간에 언급된 내용으로 출시
- 현대 지주 구조, 삼성 지주 구조
- 포스코 지주 구조(feat 포스코 홀딩스)
2. 배당정책
3. 순환출자(1장, 3장 내용)
4. 인적분활과 자사주의 마법 관련 문제 2개
5. 한글로 답하시오 4개, 영어로 답하시오 4개
'2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분석] 중간고사 + 과제2 (1) | 2022.10.15 |
---|---|
[투자분석] 6주차 - 2022/10/15 (1) | 2022.10.15 |
2학기 일정관리 (1) | 2022.10.05 |
[투자분석] 4주차 - 2022/10/01 (3) | 2022.10.01 |
[기업개요] 5주차 - 2022/09/29 (2) | 2022.09.29 |